카자흐스탄(kazakhstan) (3)
[중앙아시아 3개국 여행] 알마티, 카자흐스탄

알마티(Almaty, Алматы)는 이번에 방문한 곳들 중에서 가장 도시화가 많이 된 곳입니다.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잘 사는 카자흐스탄의 2백만이 넘는 인구가 살고 있는 최대 도시니까요. 거리에 나무도 많이 심어져 있고, 깨끗하고, 버스도 신형입니다. 현재 카자흐스탄의 수도는 '아스티나'이지만, 98년까지는 '알마티'였죠.


알마티에서 그나마 유명한 곳이 침블락, 알마티 호수, 차린 협곡 정도입니다. 저는 침블락만 방문했습니다. 차린 협곡도 가 볼까 했었는데, 알마티에서 4시간 정도 걸리는 거리라 일정도 부족하고, 그랜드 캐년과 카파도키아를 가 보았기 때문에 포기했습니다. 알마티 호수와 차린 협곡은 얼마 전에 개봉한 '다우렌의 결혼'에 배경으로 나오더군요.

이번 여행의 마지막 도시라 여독을 풀기 위한 호캉스 개념으로 생각하고, 일정을 그리 많이 계획하지 않았습니다. 더구나 머무르는 내내 날씨가 그리 좋지 않아, 침불락 외에는 숙소 근처 조금 돌아본 정도였습니다.

숙소 근처의 국립 오페라 극장 (Abay Opera House)에서 시작해서 젠코브 성당(Zenkov's Cathedral)까지 산책하며 찍은 사진들입니다.

 

젠코브 성당(Zenkov's Cathedral, Главная страница)
1907년에 완공된 높이 56m의 목조 건물입니다. 못을 사용하지 않고 나무로만 지어졌다고 합니다. 모스크만 보다가 러시아 정교회 성당을 제대로 보니 색다르긴 합니다.

 

그린 바자 (Green Bazaar, Зелёный базар)
1875년에 개장한 재래시장입니다. 식료품을 파는 주 건물 주변으로, 옷, 생활용품 등 많은 상품들이 거래되고 있는 곳입니다. 역시 시장 구경은 재미있습니다. 우리나라 제품들도 쉽게 눈에 보입니다.

 

침블락 (Shymbulak, Шымбұлақ)
침블락은 만년설로 유명한 스키장이 있는 곳입니다. 스키를 타지 않더라도 케이블카를 타고 올라가 보는 설경이 멋진 곳이죠. 겨울에는 스키, 여름에는 관광을 위해 방문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제가 가려고 한 날 날씨가 너무 안 좋아서 케이블카 운영 여부가 불투명했었습니다. 그래서 포기할까 하다가, 어찌 되든 가 보기로 했습니다. 

시내에서 12번 버스를 타고 1시간 정도 걸립니다. 종점인 메데우(Medeu, Медеу) 경기장인데, 한 정거장 전인 Medeu Cableway역에 내리면 침블락 케이블카 매표소가 있습니다. 그런데 도착하니 케이블카가 멈춰서 있습니다. 안내소에 가 보니, 역시나 걱정한 대로 날씨가 좋지 않아 운행을 하지 않는답니다. 케이블 운행 상황이 전광판에 표시되어 있습니다. 더구나 메데우 경기장과 침블락 스키 리조트를 왕복하는 미니 버스도 시즌이 아니라 운행을 안 한답니다. 도보로 갈 수는 있는데 체력에 따라 다르지만 1시간 정도 걸린답니다. 그 정도는 갈만하겠지 하고 걸어 올라갔는데, 잘못된 생각이었습니다. 케이블카로 25분 정도 걸린다고 되어 있던데, 도대체 어떤 사람이 그 거리를 1시간에 간답니까. 안내소 직원을 믿는 제 잘못입니다. 제가 등산 체력은 그래도 괜찮은 편인데, 정말 힘들더군요.

 

침블락까지 2시간이 걸렸는데, 처음 시작부터 가파른 계단을 30분 정도 올라가야 합니다. 계단을 다 오르니 이미 속옷은 땀으로 다 젖었습니다. 그 후에도 오르막길이 계속됩니다. 중간에 수십 번을 다시 내려갈까 고민했습니다. 이 고생을 왜 사서하고 있을까.... 네팔 히말라야 마르디 히말 트레킹 할 때도 그런 고민은 안 했었는데 말입니다.

 

공중에 떠 있는, 움직이지 않는 케이블카가 야속하기만 합니다. 어쨌든 리조트가 저 멀리 보이기 시작하니 그래도 다시 힘이 나긴 합니다. 

 

LG 로고가 이렇게 반가울 수가....


그렇게 고생을 하긴 했지만 그래도 도착하니 좋네요. 대부분의 시설이 운영을 안 하는 상태라, 리조트 카페에 가서 허기진 배를 채우고 나니, 구름도 좀 걷히고, 파란 하늘도 보였습니다. 이 맛에 등산하는 거죠.

 

알마티 공항은 시내에서 92번 버스를 타고 갈 수 있습니다. Ogareva Street 정류장에서 내려서 400m 정도 걸어가면 됩니다. 버스비는 200 텡게(약 620원)입니다.

 

  Comments,     Trackbacks
[중앙아시아 3개국 여행] 음식

도시별로 글을 올리기 전에 음식에 대한 글을 따로 올리는 것이 나을 것 같아서 제가 먹었던 음식들을 정리해 봤습니다.

우즈베키스탄의 부하라나 사마르칸트의 경우에는 관광지이다 보니 많은 음식점에서 전통 음식들을 판매합니다. 그런데 타슈켄트, 비슈케크, 알마티의 경우에는 관광지보다는 도시 성격이 강해서 전통음식점 찾는게 오히려 더 어렵더군요. 인도, 파키스탄, 튀르키예 사람들도 많이 살다 보니 관련 음식점이 더 눈에 띄었습니다. 그래서 제가 먹었던 대부분의 전통 음식은 부하라나 사마르칸트에서 먹은 것들이고, 그 외의 도시에서는 인도, 터키, 서양 음식 등을 다양하게 먹었습니다.

우즈베키스탄의 전통 음식들은 종류가 그리 다양하지는 않지만, 저의 입맛에는 대부분 잘 맞더군요.

1. 라그만: 면요리. 국물 있는 것, 볶은 것 등 여러 종류들이 있습니다. 대부분이 우동 느낌의 면을 사용했는데, 타슈켄트에서 먹었던 볶음 라그만은 수타면을 사용하더군요. 그래서인지 가장 맛있게 먹었습니다. 여행 중 가장 많이 먹은 음식입니다.

2. 샤슬릭: 고기 꼬치. 양 꼬치가 유명하죠.

3. 플로프(필라프), 오쉬: 볶음밥. 여러 고기 종류의 필라프가 있습니다. 저는 주로 양고기로 먹었습니다.

4. 슈르빠: 고기와 여러 야채를 넣고 끓인 국입니다. 아침 식사로 좋더군요. 빵(난)을 담궈 먹기도 합니다.

5. 만티: 만두. 주로 요거트와 함께 제공되더군요.

6. 삼사: 고기 튀김빵. 세모가 기본이고, 음식점마다 특유의 모양들이 있더군요.

7. 샤카랍: 토마토 양파 샐러드

이 외에도 많은 전통음식들이 있지만 제가 접한 건 이 정도네요. 그럼 실제로 먹었던 음식들 사진과 도시, 대략적인 금액입니다.

 

샤슬릭+샤카랍+난(빵)+녹차, 사마르칸트, 16,000원 (10% 서비스 차지 포함)


슈르빠, 사마르칸트, 2,200원 


플로프+샤카랍+녹차, 사마르칸트, 4,500원


라그만+아메리카노, 사마르칸트, 4,000원


만티+펩시, 사마르칸트, 3,800원


Shivit Oshi+삼사+아메리카노. 부하라, 8,300원


라그만+콜라. 부하라, 5,500원


슈르빠+샤슬릭+삼사+녹차, 부하라, 8,600원 (10% 서비스 차지 포함)


라그만+샤카랍+녹차, 부하라, 8,800원 (10% 서비스 차지 포함) 


라그만+샤카랍+난+녹차, 타슈켄트, 9,200원 (15% 서비스 차지 포함)


수제버거+콜라, 비슈케크, 10,500원 (15% 서비스 차지 포함)


샤슬릭+아메리카노, 촐폰아따, 8,900원 (15% 서비스 차지 포함)


비리야니(인도식 볶음밥)+망고 라씨+아이스 커피, 비슈케크, 15,000원 (15% 서비스 차지 포함) 


라그만+플로프, 비슈케크, 8,000원 (배달비 무료)


라그만+빵, 알마티, 11,700원 (배달비 포함)


되네르 케밥+아이란, 알마티, 8,900원 (배달비 포함)


말고기 파스타+생수+아메리카노, 침불락, 비슈케크, 18,500원 (10% 서비스 차지 포함)
침불락 리조트에 올라 갔다가 먹었는데, 음식 나올 때 누린내가 좀 나긴 했는데 맛은 있더군요.

  Comments,     Trackbacks
[2024.05.01~13]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

1. 일정

총 12박 13일
타슈켄트(1박) -> 사마르칸트(2박) -> 부하라(2박) -> 타슈켄트(1박) -> 비슈케크(1박) -> 촐폰아따(1박) -> 비슈케크(2박) -> 알마티(2박)

2. 이유

원래는 2019년에 만료 기한이 얼마 남지 않은 아시아나 마일리지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 가능한 운항처를 알아 보다가, 아직 가보지 못한 나라들 중, 가성비가 좋다고 판단된 지역으로 선택했습니다. 당시 2020년 6월 5일~13일로 항공권 예약을 하였었으나, 판데믹으로 인하여 쥐소되어, 올해 다시 계획을 세웠습니다.

3. 도시간 이동

1) 타슈켄트 -> 사마르칸트 -> 부하라: 기차 (출발 전 예약)
https://eticket.railway.uz/en/home 에서 예약 가능합니다.
고속열차와 일반열차가 있는데, 고속열차는 2~3개월 이전에 매진되는 경우도 많으니, 계획이 세워지면 미리 미리 예약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타슈켄트 -> 사마르칸트 (2시간 19분 소요): 204,000솜 (약 22,500원)
사마르칸트 -> 부하라 (1시간 43분 소요): 148,000솜 (약 16,500원)


2) 부하라 -> 타슈켄트: 항공 (출발 전 예약)
우즈베키스탄 항공 홈페이지에서 예약했습니다.
https://book.uzairways.com/en/
날짜별로 좌석 상황에 따라 가격 차이가 나는데, 저는 운이 좋게 수화물 없이 23.5 USD에 구매했습니다. 고속열차(약 44,000원)보다도 더 저렴한 가격이었습니다.
카드 결제 가능한데, 결제 단계에서 먹통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리시면 결제가 되긴 합니다.
고속열차로 4시간정도 걸리는데, 항공은 1시간입니다.

3) 타슈켄트 -> 비슈케크: 항공 (출발 전 예약)
우즈베키스탄 항공 홈페이지에서 예약했습니다.
https://book.uzairways.com/en/
수화물 없이 135.6 USD에 구매했습니다.
이 구간을 많은 여행자들이 야간 버스(약 30,000원)로 이동하는데, 국경을 넘을 때 보안 검사까지 해서 총 14시간정도 걸립니다.
저도 그럴까 하다가, 나이도 있고, 시간도 너무 많이 들어서 항공편으로 선택했습니다.

4) 비슈케크 <-> 촐폰아따: 버스
비슈케크 Western Bus Terminal 바로 옆에, 미니버스 터미널에서 촐폰아따로 가는 미니버스가 출발하는데, 시간이 정해진게 아니라 인원이 다 차면 출발합니다. 다행히 저는 한 10분정도 기다렸습니다. 운이 안 좋으면 1시간 이상 기다리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400숨 (약 6200원)
4시간정도 걸립니다.
촐폰아따 버스 터미널에서 출발하는 버스도 마찬가지로 인원이 차야 출발하는데, 승객들이 별로 없어서 인원이 찰 기미가 보이지 않아, 주변에서 영업하는 사설 미니 버스를 100숨 (약 1,500원)정도 더 내고 이용하여, 비슈케크로 돌아 왔습니다.

5) 비슈케크 -> 알마티: 버스
이 구간은 바로 연결되는 항공편이나 기차가 없습니다.
그래서 할 수 없이 버스로 이동했습니다. 600숨 (약 9,200원)
구글링해 보면 4시간정도 걸린다는 정보가 있던데, 저의 경우에는 총 5시간정도 걸렸습니다.
당일에 비가 왔었고, 또 제가 탔던 버스 운전사가 좀 느리게 운전했던 것 같긴 합니다.

비슈케크 출발 40분정도 후에 국경에서 내려, 보안 검사 후 건너편에서 기다리고 있는 다른 버스에 탑승해서 알마티까지 갑니다.

4. 필수 앱

1) 얀덱스 고 (Yandex Go)
택시 앱입니다. 출발 전에 설치 및 신용카드 등록 후, 현지에서 문제 없이 사용했습니다. 택시비가 전반적으로 많이 저렴합니다. 앱 내에 Eat 메뉴도 있는데, 음식 배달 가능합니다. 저도 몇번 사용했습니다.

2) 구글 맵 or 얀덱스 맵
'얀덱스 맵'이 현지 정보 업데이트가 더 정확하고 빠릅니다. '얀덱스 고'와 연계됩니다. '구글 맵'처럼 오프라인 지도 다운로드도 지원합니다. 저는 둘 다 사용했습니다.

3) 번역기

호텔이나 고급 음식점 직원 외에는 거의 영어가 안 통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도 서로 번역기 사용해서 그리 큰 문제 없이 소통했습니다. 그래도 '라흐맛(우즈벡, 키르기스스탄)', '라흐멧(카자흐스탄)'은 정말 많이 썼네요. '감사합니다'라는 뜻입니다. 물론, 러시아어 하시는 분들은 번역기 필요 없으실 겁니다.

 

5. 유심

우즈베키스탄의 경우에는 외국인이 유심을 살려면 여권과 거주등록증을 가지고 대리점에 가야 한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저는 여행 예정인 3개국에서 모두 사용이 가능한 데이터 전용 유심을 미리 구매해서 사용했습니다. 홍콩 통신사 유심이었습니다. 현지에서의 데이터 사용은 인내심을 필요로 했습니다. 호텔 와이파이 속도도 그리 빠르진 않더군요. 대부분 10~20Mbps정도의 속도가 나오는 것 같았습니다. 도심을 벗어나면 접속 자체가 안되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6. 도시내 이동

1) 타슈켄트: 택시와 지하철을 이용했습니다.

2) 사마르칸트: 기차역과 숙소간의 이동은 택시, 관광지들은 도보로 이동했습니다.

3) 부하라: 관광지들이 거의 몰려 있는 올드 타운 지역은 차량 진입 불가입니다. 부하라는 기차역이 공항보다 훨씬 멀리 있습니다. 택시로 각각 30분 15분정도 걸리더군요.

4) 비슈케크: 주로 택시 이동했습니다.

5) 촐폰아따: 도보 이동했습니다. '얀덱스 고'에서 확인할 수 있는 택시가 거의 없었습니다. 도시 자체가 휴가철인 7~8월 외에는 여행자에게는 매우 불편한 환경입니다.

6) 알마티: '얀덱스 고'와 버스를 이용했습니다. 버스는 1회 승차에 200텡게(약 620원)입니다. 환승 안됩니다. 원래 'Onay Card'라는 교통카드를 구매할려고 했는데, 살 수가 없었습니다. 가판대에서 판매한다는 정보를 보고 가 봤지만, 더 이상 판매를 안 한답니다. 요즘은 Onay 앱으로 거의 대체되는 듯 한데, 이 앱의 등록을 위해서는 카자흐스탄 전화번호가 필요합니다. 저는 데이터 전용 유심을 사용해서 번호가 없어, 어쩔 수 없이 현금을 사용했습니다. Onay 앱이나 카드를 이용하면 100텡게입니다. 시내에서 92번 버스를 타면 공항까지 갑니다. Ogareva Street 정류장에서 내려서 400m정도 걸어가면 됩니다. 지금까지 여행하면서, 시내에서 공항 갈 때 사용했던 가장 저렴한 금액이었습니다.

7. 환전

1) 우즈베키스탄 숨
타슈켄트 공항에 도착해서 달러로 환전했습니다. 트레블월렛 가능, 트레블로그 불가입니다.

2) 키르기스스탄 솜
남은 우즈베키스탄 숨과 달러, 루블로 환전했습니다. 트레블월렛, 트레블로그 둘 다 불가입니다.

3) 카자흐스탄 텡게
남은 키르기스스탄 솜 환전하고, 트레블월렛 사용했습니다. 트레블로그는 불가입니다. 트레블 월렛 카드로 HALYK 은행 ATM에서 출금했는데, 수수료 없었습니다. 타 은행은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은행이나 환전소들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었습니다. 달러, 유로 못지 않게 러시아 루블도 선호하는 편이라, 저는 예전 블라디보스톡 여행 후 남은 루블 가져가서 다 환전해서 사용했습니다.
각 국에서 여행 후 돈이 남더라도, 그 다음 여행지에서 환전이 가능했습니다.

8. 물가

제가 느낀 각 도시별 물가는 아래와 같습니다. 개인 차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알마티 > 타슈켄트 > 비슈케크 > 촐폰아따 > 사마르칸트 > 부하라

교통비가 많이 저렴합니다.
음식점들의 경우, 카드 사용이 가능한 수준이면, 10~15%정도의 봉사료를 포함해서 청구합니다.
신용카드나 체크카드 사용 시 비밀번호 입력이 6자리로 나오는데 4자리 비밀번호+00 입력하시면 됩니다.
공중 화장실은 대부분 유료입니다. 100~200원정도입니다.

  Comments,     Trackbac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