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 (6)
[중앙아시아 3개국 여행] 알마티, 카자흐스탄

알마티(Almaty, Алматы)는 이번에 방문한 곳들 중에서 가장 도시화가 많이 된 곳입니다.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잘 사는 카자흐스탄의 2백만이 넘는 인구가 살고 있는 최대 도시니까요. 거리에 나무도 많이 심어져 있고, 깨끗하고, 버스도 신형입니다. 현재 카자흐스탄의 수도는 '아스티나'이지만, 98년까지는 '알마티'였죠.


알마티에서 그나마 유명한 곳이 침블락, 알마티 호수, 차린 협곡 정도입니다. 저는 침블락만 방문했습니다. 차린 협곡도 가 볼까 했었는데, 알마티에서 4시간 정도 걸리는 거리라 일정도 부족하고, 그랜드 캐년과 카파도키아를 가 보았기 때문에 포기했습니다. 알마티 호수와 차린 협곡은 얼마 전에 개봉한 '다우렌의 결혼'에 배경으로 나오더군요.

이번 여행의 마지막 도시라 여독을 풀기 위한 호캉스 개념으로 생각하고, 일정을 그리 많이 계획하지 않았습니다. 더구나 머무르는 내내 날씨가 그리 좋지 않아, 침불락 외에는 숙소 근처 조금 돌아본 정도였습니다.

숙소 근처의 국립 오페라 극장 (Abay Opera House)에서 시작해서 젠코브 성당(Zenkov's Cathedral)까지 산책하며 찍은 사진들입니다.

 

젠코브 성당(Zenkov's Cathedral, Главная страница)
1907년에 완공된 높이 56m의 목조 건물입니다. 못을 사용하지 않고 나무로만 지어졌다고 합니다. 모스크만 보다가 러시아 정교회 성당을 제대로 보니 색다르긴 합니다.

 

그린 바자 (Green Bazaar, Зелёный базар)
1875년에 개장한 재래시장입니다. 식료품을 파는 주 건물 주변으로, 옷, 생활용품 등 많은 상품들이 거래되고 있는 곳입니다. 역시 시장 구경은 재미있습니다. 우리나라 제품들도 쉽게 눈에 보입니다.

 

침블락 (Shymbulak, Шымбұлақ)
침블락은 만년설로 유명한 스키장이 있는 곳입니다. 스키를 타지 않더라도 케이블카를 타고 올라가 보는 설경이 멋진 곳이죠. 겨울에는 스키, 여름에는 관광을 위해 방문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제가 가려고 한 날 날씨가 너무 안 좋아서 케이블카 운영 여부가 불투명했었습니다. 그래서 포기할까 하다가, 어찌 되든 가 보기로 했습니다. 

시내에서 12번 버스를 타고 1시간 정도 걸립니다. 종점인 메데우(Medeu, Медеу) 경기장인데, 한 정거장 전인 Medeu Cableway역에 내리면 침블락 케이블카 매표소가 있습니다. 그런데 도착하니 케이블카가 멈춰서 있습니다. 안내소에 가 보니, 역시나 걱정한 대로 날씨가 좋지 않아 운행을 하지 않는답니다. 케이블 운행 상황이 전광판에 표시되어 있습니다. 더구나 메데우 경기장과 침블락 스키 리조트를 왕복하는 미니 버스도 시즌이 아니라 운행을 안 한답니다. 도보로 갈 수는 있는데 체력에 따라 다르지만 1시간 정도 걸린답니다. 그 정도는 갈만하겠지 하고 걸어 올라갔는데, 잘못된 생각이었습니다. 케이블카로 25분 정도 걸린다고 되어 있던데, 도대체 어떤 사람이 그 거리를 1시간에 간답니까. 안내소 직원을 믿는 제 잘못입니다. 제가 등산 체력은 그래도 괜찮은 편인데, 정말 힘들더군요.

 

침블락까지 2시간이 걸렸는데, 처음 시작부터 가파른 계단을 30분 정도 올라가야 합니다. 계단을 다 오르니 이미 속옷은 땀으로 다 젖었습니다. 그 후에도 오르막길이 계속됩니다. 중간에 수십 번을 다시 내려갈까 고민했습니다. 이 고생을 왜 사서하고 있을까.... 네팔 히말라야 마르디 히말 트레킹 할 때도 그런 고민은 안 했었는데 말입니다.

 

공중에 떠 있는, 움직이지 않는 케이블카가 야속하기만 합니다. 어쨌든 리조트가 저 멀리 보이기 시작하니 그래도 다시 힘이 나긴 합니다. 

 

LG 로고가 이렇게 반가울 수가....


그렇게 고생을 하긴 했지만 그래도 도착하니 좋네요. 대부분의 시설이 운영을 안 하는 상태라, 리조트 카페에 가서 허기진 배를 채우고 나니, 구름도 좀 걷히고, 파란 하늘도 보였습니다. 이 맛에 등산하는 거죠.

 

알마티 공항은 시내에서 92번 버스를 타고 갈 수 있습니다. Ogareva Street 정류장에서 내려서 400m 정도 걸어가면 됩니다. 버스비는 200 텡게(약 620원)입니다.

 

  Comments,     Trackbacks
[중앙아시아 3개국 여행] 이식쿨, 키르기스스탄

이식쿨(Issyk-Kul, Ысык-Көл)은 '뜨거운 호수'라는 뜻으로, 면적 6,200 km², 제주도 크기 3배가 넘네요. 산정호수로는 티티카카호 다음으로 큽니다. 중앙아시아 지역이 전반적으로 지대가 높긴 하지만, 이식쿨 호수가 해발 1,600m라고 하더군요. 워낙에 호수가 크다 보니 주변으로 여러 도시들이 있지만, 그중에서 가장 많이 알려진 곳이 촐폰아따(Cholpon-Ata, Чолпон-Ата)입니다. 키르기스스탄 사람들에게는 휴양지로 알려져 있는 곳이죠.

촐폰아따는 비슈케크에서 차로 4시간 거리에 있습니다. Westerm Bus Terminal 바로 옆의 미니 버스 터미널에서 출발하는데, 기간이 정해진 것이 아니라 자리가 다 차면 출발합니다. 가격은 400 som(약 6,200원)이었습니다. 중간에 한번 휴게소에서 쉬었다 갑니다. 화장실은 역시 유료(10 som, 약 150원)입니다.


버스를 타고 가다 보면, 텐산산맥을 배경으로 아래와 같은 풍경들이 끊임없이 이어집니다. 어떤 지역은 그랜드 캐년이나 카파도키아 느낌도 조금 나더군요. 참고로, 비슈케크로 돌아가는 길에 조수석에 앉게 되어 찍은 사진과 동영상들입니다.

 

 

 

 


촐폰아따 버스 터미널에 도착하니 썰렁합니다. 아무래도 휴가철이 아니라 사람들이 별로 없더군요. 많은 음식점과 상점들도 문을 닫아 식사할 곳 찾는 것도 쉽지 않았습니다. 얀덱스 택시도 없더군요. 다행히 카페 한 곳 찾아, 샤슬릭으로 점심을 먹고, 저녁 식사는 삼사, 빵, 음료수를 사서 해결했습니다.


점심 식사 후 좀 늦은 오후에 드디어 호수로 갔습니다. 터미널 근처 숙소에서 이식쿨까지는 택시를 잡을 수 없어서 어쩔 수 없이 걸어갔는데 30분 정도 걸렸습니다. 그 이후는 사진과 동영상으로 대신합니다. 

 

 

 

 

비슈케크로 돌아오는 길에 찍은 동영상입니다. 멀리 보이는 건물들이 있는 곳이 비슈케크 시내입니다. 그리 높은 건물도 없는 아주 작은 도시입니다. 그래서, 시내 어디서나 텐산산맥의 멋진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Comments,     Trackbacks
[중앙아시아 3개국 여행] 비슈케크, 키르기스스탄

저는 항공편으로 타슈켄트에서 비슈케크로 이동했습니다. 1시간정도 걸립니다. 비슈케크 공항이 시내에서는 좀 멀어서 택시로 40~50분정도 걸립니다. 시내에 접어드니 차가 많이 막히더군요.

비슈케크를 여행 경로에 넣은 것은 순전히 이식쿨 호수를 보기 위해서였습니다. 이식쿨을 가기 위해서는 비슈케크를 거쳐서 촐폰아따로 가야 하기 때문이었죠. 비슈케크도 타슈켄트와 알마티와 마찬가지로 관광도시는 아니라서 볼거리가 별로 없어서 몇군데만 돌아 봤습니다.

비슈케크 중앙 사원 (Bishkek Central Mosque, Imam Sarahsi Bishkek Central Mosque)
공항에서 숙소로 가다가 본 사원인데 눈에 띄어서 나중에 방문하게 되었습니다. 처음 봤을 때, 이스탄불의 블루 모스크(Sultan Ahmet Camii)를 본따서 만들었나 했습니다. 나중에 알고 보니 역시나 튀르키에가 지원해서 2012~2018년에 지은 모스크더군요. 뭐 사실 모스크 형태가 대부분 비슷하긴 하지만요. 중앙 아시아 최대 규모의 모스크라고 합니다.

 

 

알라 아르차 국립공원(Ala-Archa Nature Park, Ала-Арча кыргыз мамлекеттик жаратылыш паркы)
시내에서 차로 1시간정도 걸립니다. 방문 계획을 잡았던 날 날씨가 너무 흐려서 포기할까 하다가 언제 다시 올 수 있을까 하는 마음에 가게 되었습니다. 구름이 너무 많아 좀 아쉽긴 했지만 그래도 가길 잘 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얀덱스 택시 이용해서 갔는데, 구글링해 보니 돌아올 때 택시 잡기 쉽지 않으니 갈 때 기사분와 잘 얘기해서 왕복으로 하는게 좋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저도 타기 전에 번역기 사용해서 물어 봤고, 기사분도 응하더군요.
얀덱스 택시 잡을 때 'Ala-Archa Nature Park'로 목적지를 검색해서 택시를 불렀는데 가다 보니 해당 지점은 입장료(차량 1대당 700 som, 약 11,000원)를 받는 공원 입구더군요. 입구를 지나 10분 이상을 더 가야 'Ala-Archa Hotel'이 나오고 거기서부터 트렉킹이 시작됩니다.
택시 기사분에게 2시간정도 기다려 달라고 요청하고, 트레킹 다녀와서 다시 그 택시를 타고 시내로 돌아왔습니다. 원래는 돌아올 때도 '얀덱스 고'를 사용해서 택시를 부르면, 해당 기사분이 승락하는 것으로 할려고 했었는데, 기사분이 '얀덱스 고' 수수료가 너무 비싸니까 따로 비용을 지불해 날라고 하더군요. 그래서 갈 때는 '얀덱스 고'에서 1,150 som(약 17,800원) 결제되었는데, 올 때는 현금으로 1,000 som(약 15,500원) 지불했습니다. 기사분도 만족스러워하시더라구요. '얀덱스 고' 수수료가 15%정도는 되는 것 같더군요.

 


버스 터미널 (알마티행 버스 타는 곳)
비슈케크에는 2개의 버스 터미널이 있습니다. 동쪽에 하나 서쪽에 하나. 대부분의 관광객들은 Western Bus Terminal을 이용하게 될껍니다. 알마티나 타슈켄트 버스를 이곳에서 타거든요. 도착도 마찬가지구요. 그 바로 옆에는 촐폰아따로 가는 미니 버스를 탈 수 있는 작은 터미널도 있습니다. 알마티행 버스는 600 som(약 9,300원), 촐폰아따행 미니버스는 400 som(약 6,200원) 이었습니다. 알마니 이동 시, 비슈케크 출발 40분정도 후에 국경에서 내려, 보안 검사 후 건너편에서 기다리고 있는 다른 버스에 탑승해서 알마티까지 갑니다.

  Comments,     Trackbacks
[중앙아시아 3개국 여행] 부하라,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에서 고속 기차를 타고 1시간 43분 만에 도착한 부하라의 기차역은 올드 타운에서 꽤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30분 정도 걸립니다. 얀덱스 택시로 이동했는데 숙소 거의 다 와서, 내리랍니다. 차가 못 들어간답니다. 올드 타운 지역은 차량 진입이 불가합니다. 그래서 돌아다니기는 더 좋더군요.


부하라 올드 타운은 그 자체가 유적지라 산책하듯 걸어 다니면서 둘러보면 됩니다. 호수가 있는 라비 하우스(Lyab-i Hauz, Ляби-хауз)를 중심으로 마음먹고 빨리 보면 반나절이면 다 돌아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천천히, 여러 번, 다른 시간에 느껴보는 재미도 있죠. 

칼랸 미나레트(Kalyan Minaret, Минарет Калян)
부하라의 상징이라고도 볼 수 있는 1127년에 세워진. 높이 46m의 첨탑입니다. 이를 중심으로 칼란 사원(Kalan Mosque)과 미르 아랍 메드레세(Mir-i-Arab Madrasa, Медресе Мири Араб)가 마주 보고 있습니다. 칭기즈칸이 정벌할 때 이곳은 남겨 두었다고 하는 이야기도 있죠.

 

아르크 성(Ark Citadel, Арк)
AD1000년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요새입니다. 부하라의 전경을 보기 위해 간 곳입니다. 입장료 40,000 숨 (약 4,400원)

부하라 올드타운 전경

 

라비 하우스(Lyab-i Hauz, Ляби-хауз)


그 외에 부하라의 풍경들

 

  Comments,     Trackbacks
[중앙아시아 3개국 여행] 사마르칸트, 시압 바자르 등,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에는 레기스탄 외에도 여러 관광지들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몇 군데만 도보로 이동하면서 방문해 봤습니다.

비비하눔 사원(Bibi-Khanym Mosque, Биби Хонум Масжиди)
원래는 14세기 티무르 제국의 왕, 아미르 티무르가 아내를 위해서 만들었지만, 관리 소홀, 지진 등으로 많은 부분이 파괴되었었다가, 1974년부터 재건축되어 지금의 모습을 가지게 되었다고 합니다. 저는 입장하지는 않고 지나가면서 외관만 봤습니다. 입장료 40,000 숨 (약 4,400원)


시압 바자르(Siyob Bazaar, Сиабский базар)
비비하눔 사원 바로 옆에 있는 시장입니다. 어느 도시를 가든, 시장을 구경하는 건 참 재미있습니다.


하즈랏 히즈르 사원(Hazrat Khizr Mosque, Мечеть Хазрат Хизр)
8세기 지어진 사마르칸트 최초의 모스크였으나, 13세기 칭기즈칸에 의해 파괴되었다가, 복원된 곳입니다. 우즈베키스탄 최초의 대통령인 이슬람 카리모프의 묘가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지대가 높아서 비바하눔 사원의 전경을 볼 수 있어 좋았습니다.


샤이 진다 (Shah-i-Zinda, Шахи-Зинда)
11~18세기에 걸쳐 이루어진 공동묘지입니다. 레기스탄 다음으로 볼만한 유적지라 입장을 고려했었지만, 비도 오고 또 제 복장이 반바지 차림이어서 그냥 외관만 봤습니다. 입장료 40,000 숨 (약 4,400원)

  Comments,     Trackbacks
[중앙아시아 3개국 여행] 사마르칸트, 레기스탄,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 아니 우즈베키스탄에서 가장 유명한 레기스탄(Registan, Регистан)입니다. '모래땅'이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이슬람 교육 기관인 메드레세, 쉽게 말하자면 학교 건물이 3개면을 이루고 있는 광장입니다. 왼쪽에 있는 울루그벡 메드레세(Ulug`bek mаdrаsasi, Медресе Улугбека)가 1420년에 가장 먼저 세워졌고, 오른쪽에 있는 쉬르도르 메드레세(Sherdor mаdrаsasi, Медресе Шердор)가 1636년에, 그리고 중간에 있는 틸라카리 메드레세(Tillаkori madrasasi, Медресе Тилля-Кари)가 1660년에 세워지면서 지금의 모습이 완성되었습니다.


사마르칸트는 레기스탄에서 시작해서 레기스탄으로 끝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이 곳은 가장 중요한 곳입니다. 다른 곳은 방문하지 않더라도 레기스탄은 꼭 봐야 하는 곳이죠. 다르게 얘기하면 레기스탄을 보고 다른 곳을 방문하면 감흥이 많이 떨어지긴 합니다.
입장료는 65,000숨(약 7,200원)이었습니다.

 

울루그벡 메드레세(Ulug`bek mаdrаsasi, Медресе Улугбека)

 

쉬르도르 메드레세(Sherdor mаdrаsasi, Медресе Шердор)

 

틸라카리 메드레세(Tillаkori madrasasi, Медресе Тилля-Кари)

 

매일 저녁 9시부터 30분간 레이저쇼가 펼쳐집니다. 레이저 광선이 나가거나 하는 화려한 쇼가 아니라, 음악에 맞추어 조명이 조금씩 바뀌는 정도의 조명 쇼에 가깝습니다. 30분 내내 비슷한 패턴이 반복되니 나중에는 좀 지루하기도 하더군요.

 

 

 

 

 

  Comments,     Trackbac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