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26)
클로버필드 재관람 : 사운드를 제대로 느끼다
이제 폐관된지도 벌써 5년이 넘었지만 가끔 씨넥스의 추억이 떠오르곤 한다. 사실 그 영화관에서 본 영화는 2편밖에 되지 않는다. 'LA 컨피덴셜'과 '더 헌팅'. 하지만 영화 자체의 재미없음에도 불구하고 영화관의 사운드 하면 씨넥스에서 본 '더 헌팅'을 잊을 수가 없다. 이건 마치 '아라비아의 로렌스'를 역시 이제는 추억이 되어버린 대한극장의 70mm 화면으로 본 것과 비슷한 느낌이다.
 
난 개인적으로 영화를 볼때 화면과 소리의 비중을 따지자면 4:6정도로 소리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편이다. 그런 면에서 이번 AT9 사운드 필름 페스티벌은 관심이 가지 않을 수 없었다. 그 중에서도 특히 '클로버필드'의 재상영은 영화를 매우 인상적으로 본 나에겐 좀 더 나은 사운드로 관람할 수 있는 더할 수 없는 기회였다. 더구나 dts demonstration을 영화관에서 경험할 수 있었다.
 
[DTS demonstration]
1. Eagles의 Hell Freezes Over 중 'Hotel California' : 콘서트 현장에서의 공간감의 경험

집에서 매번 보던 것과 비교한다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 첫 상영을 뮤직DVD로 정한 것은 매우 적절한 느낌이었다. 특히나 인상깊었던 것은 사운드의 공간감이었다. Eagles의 연주는 말할 것도 없고 마치 바로 옆에서 있는 듯한 관객들의 호응이 어우러지는 사운드는 정말 콘서트 현장에서 듣는 듯한 공간감을 주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 The Fast And The Furious : 날카로운 고음의 향연
정말 이 영화의 반 이상은 사운드가 차지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정도로 레이싱 장면과 배경 음악의 사운드가 인상적인 작품이었다. 역시 추격장면이 상영되었는데 Eagles의 강한 인상때문이었을까 조금은 답답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서라운드의 느낌도 뭔가 2% 부족한 느낌. 하지만 날카로운 고음을 귀에 부담이 가지 않게 안정적으로 재생해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3. The Haunting : 중저음이란 바로 이런 것.
첫화면을 보자 마자 씨넥스의 추억이 되살아났다. 마치 다시 씨넥스에서 다시 영화를 관람하고 있는듯한... 기억속에 남아있던 최고의 사운드를 다시 경험하는 순간이었다. 그 저음의 웅장함이란... 그러고 보니 이 영화를 본지도 거의 10년이 지났다. 그런데 아직도 그 당시의 사운드가 그리운걸 보면 정말 대단한 경험이었던 것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4. Moulin Rouge 중 'One Day I'll Fly Away' : 뮤지컬의 느낌 그대로.
Baz Luhrmann 감독의 뮤지컬적인 연출 답게 음악 역시도 실제 뮤지컬을 보는 듯한 느낌을 잘 살려주고 있었다. 마치 Nicole Kidman이 정말 스크린 뒤에서 노래하고 있는 것 처럼.

사용자 삽입 이미지

 
5. Hero 중 'Blue Room' : 온몸을 휘감는 사운드에 포위되다.
현란한 인상적이었던 화면의 색감만큼이나 사운드 효과도 일품이었던 작품. 하지만 개인적으로 영화 자체는 그저 그랬던... 아무튼 이 장면에서는 역시 멋진 서라운드 효과를 마음껏 느낄 수 있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6. E.T : 영화음악의 중요함을 다시한번 일깨워준다.
자전거 타고 하늘을 날아가는 너무나 유명한 장면과 거기에 흐르는 존 윌리암스의 배경음악을 듣다보니 어린시절의 추억과 함께 스크린이니 사운드니 하는 기술적인 면은 전혀 생각하지 않고 단순히 영화가 좋아서 영화관을 찾았던 그때가 떠올랐다. 훌륭한 배경음악은 관객들을 영화에 훨씬 몰입시키고 감정을 자극하여 반응을 극대화시킨다. 존 윌리암스의 음악은 그 역할을 넘어서서 더 큰 감동을 주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정말 DTS demonstration만으로도 정말 멋진 사운드를 느낄 수 있는 시간이었다. 상영 중에는 숨을 제대로 쉬기 어려울 정도로 긴장된 순간들이었다.

[Cloverfield]
개봉시 관람했던 극장은 CGV 상암. 워낙에 막귀이긴 하지만 관람 당시에는 나름대로 만족스러운 사운드로 기억된다.

이 영화에서의 사운드 효과는 다른 영화들보다 훨씬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 영화가 시종일관 카메라를 쥐고 있는 1인칭 시점으로 진행되고 있고, 그렇기 때문에 화면과 함께 사운드가 얼마나 그 현장감을 전달할 수 있느냐에 따라 관객들이 영화에 쉽게 몰입할 수도 아니면 그냥 단순히 현기증을 느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조지 루카스가 운영하고 있는 현존하는 최고의 사운드 스튜디오 '스카이워커 사운드'는 영화의 컨셉에 맞는 최고의 사운드를 들려주고 있다. 이 영화에서 특히 멋진 사운드를 들려 주었던 몇 장면을 소개해 본다.

1. 첫 건물 폭파
송별 파티의 요란한 분위기 (여기서도 강한 비트의 중저음을 약하게나마 느낄 수 있다)에서 빠져나와 베스와의 문제로 롭이 잠시 밖에서 고민하던 중 알 수 없는 굉음과 맨하탄 한 복판의 건물이 폭파되며 파편이 여기저기 떨어지고 파티장은 순식간이 아수라장으로 변하게 된다. 이 때의 강력한 폭파음은 영화의 본격적인 전개를 알리며 매우 깊은 인상을 준다. 정말 극장의 좌석이 울리며 마치 실제로 근처에서 무언가가 폭발하는 듯한 느낌을 주며 영화에 몰입하게 만들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 브룩클린 다리의 붕괴
괴물의 꼬리(?)에 허무하게 무너져버리는 브룩클린 다리. 괴물의 괴성과 붕괴되는 교량의 효과를 잘 표현해 주고 있고 특히 케이블이 끊어지는 소리가 인상적이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3. 시가전
괴물에게 무차별 폭격을 퍼붓는 군사들. 여기저기서 들려오는 총성과 폭격 소리에다가 괴물의 괴성까지 가세해서 숨을 쉴 수 없을 정도의 긴박감을 느낄 수 있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4. 지하철에서의 괴물과의 난투
바로 옆에서 들려오는 괴물들의 소름끼치는 소리는 영화관 어딘가에 그 괴물이 숨어있다가 나올 것 같은 기분마저 들었다. 역시 다리 많이 달린 것들은 징그러워...

사용자 삽입 이미지


5. 괴물 폭격과 헬기 추락
괴물이 스텔스기에 폭격 당하고 갑자기 뿌연 폭연에서 튀어 나와 헬기를 습격하여 추락하는 장면 또한 현장감을 그대로 느낄 수 있게 혼란스러운 서라운드 효과를 들려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번 영화제를 위해서 일반 상영시보다 볼륨을 조금 높였다고는 하지만 좌석의 울림을 느낄 수 있을 정도의 웅장한 사운드를 즐길 수 있는 극장은 찾기 힘들다. 씨너스 이수 5관은 씨넥스와 함께 내게는 가장 훌륭한 사운드를 들려주었던 영화관으로 기억될 것 같다. 앞으로도 그런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자주 오길...



  Comments,     Trackbacks
밴티지 포인트 : '24'의 극장판?

밴티지 포인트 (Vantage Point, 2008)
- 감독 : Pete Travis
- 출연 : Dennis Quaid, Matthew Fox, Forest Whitaker, Sigourney Weaver, William Hurt, Eduardo Noriega

밴티지 포인트 포스터

대통령의 암살사건을 여러 시점으로, 또 시간을 역행시켜 진행시킨다는 컨셉은 좋았다고 본다. 물론 '라쇼몽'이나 '커리지 언더 파이어', '나비효과' 같은 영화들에서 이미 사용되었었던 방식이긴 했지만 말이다. 그러나 그 시점들을 단순한 시간적인 반복을 통해서 보여주고 있어서 처음 2~3번의 반복은 흥미로울지 몰라도 그 이후에는 '또야'하는 지루함이 느껴진다.  물론 막판의 시가추격전은 그나마 스릴감을 느낄 수 있었지만 역시나 소시민의 영웅담과 '미국 만세'라는 결말은 여전히 이 영화의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밴티지 포인트 스틸 1

미드에 관심있는 사람들이라면 이 영화를 보면서 '24'가 많이 생각이 낫을 것 같다. 쟁쟁한 연기파 배우들의 이름이 조금 아깝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그래도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Eduardo Noriega를 오랜만에 볼 수 있었다는 건 좋았다.

밴티지 포인트 스틸 2

  Comments,     Trackbacks
람보 4 : 전쟁의 잔혹함에 비례하는 폭력의 나르시스

람보 4 : 라스트 블러드 (Rambo, 2008)
- 감독 : Sylvester Stallone
- 출연 : Sylvester Stallone, Julie Benz, Matthew Marsden

람보 4 포스터 1 람보 4 포스터 2

실베스타 스탤론이 록키에 이어서 람보도 훌륭한 마무리를 짓고 있다. 국내상영시 부제인 '라스트 블러드'는 그의 그런 의지를 다분히 잘 표현하고 있는 듯 하다. 1편 First Blood가 상영된지도 어언 26년이란 세월이 흘렀다. 웃통을 벗어 제끼고 총을 쏘던 그 시절에서 이제는 환갑을 지난 나이가 되었지만 그는 여전히 엄청난 근육과 특유의 무표정으로 악당들을 처지한다.

람보 4 스틸 1

월남전에서 이번엔 버마(미얀마)를 배경으로 군부의 학살사태를 비판하고 있다. 람보의 행동에 정당성을 부여하려는 듯 영화 초반에는 악랄한 미얀마 군인들의 만행이 펼쳐진다. 이 영화에서는 매우 사실적인 폭력장면이 여과없이 보여지고 있다. 왠만한 호러영화 저리 가라할 만큼 사지가 절단되고 머리가 날라가는 총격전이 펼쳐지며 더구나 여자나 어린아이를 가리지 않고 살상당하는 장면은 왠만한 강심장을 가진 사람이라도 얼굴을 찌푸리게 만든다. 그러면서 전쟁의 잔혹함을 피부로 와닿게 한다. 전쟁의 표현이 잔인하면 잔인할 수록 람보의 복수극은 더욱 통쾌하게 느껴지는 것이 사실이고 그래서 한편으로는 착찹한 느낌도 든다.

람보 4 스틸 2

이제 그의 두 페르소나 '록키'와 '람보'를 오랜만에 다시 부활시키고 시리즈의 종지부를 찍은 실베스타 스탤론. 과연 그는 앞으로 어떤 모습으로 대중들에게 다시 찾아올까?

람보 4 스틸 3

  Comments,     Trackbacks
추격자 : 감독의 장편 데뷰작 맞아? 왜 이리 잘 만들었어!

추격자 (The Chaser, 2008)
- 감독 : 나홍진
- 출연 : 김윤석, 하정우, 서영희

추격자 포스터 1 추격자 포스터 2 추격자 포스터 3

감독은 아마도 앞으로 다음 작품이 공개될때까지 어깨에 무거운 짐을 지고 있어야 할 듯 하다. 장편 데뷰 영화를 이렇게 잘 만들어 놓았으니 사람들은 그의 다음 작품을 얼마나 기대하게 될까...

추격자 스틸 1

이 영화의 장점은 많은 곳에서 발견할 수 있다. 깔끔한 감독의 연출, 잘 짜여진 시나리오, 현실감있는 배우들의 연기. 정말 교과서적으로 잘 만들어진 작품이다. 특히 인상깊었던 것은 관객들을 영화에 몰입하게 하는 이 영화의 흡입력이다. 영화는 자연스럽게 관객들을 스크린 안으로 끌어들이며 주인공 엄중호와 함께 범인을 함께 추격하게 만드는 것이다. 그러면서 관객들은 그와 동질감을 느끼게 되고 영화가 주는 긴장감은 배가되고 있다.

추격자 스틸 2

영화를 보고 나면 두 주연배우들에게 관심이 가지 않을 수 없다. 우선 김윤석은 미니시리즈 '부활'을 통해서 조금씩 사람들에게 알려지다가 영화 '타짜'에서 매우 강한 인상을 남겨 주었다. 이제 그는 이 영화를 통해 제2의 송강호가 될 발판을 마련한 듯 하다. 사실 하정우는 '추격자'전에는 그리 관심이 가는 배우는 아니었다. 그도 그럴 것이 개인적으로 그가 출연했던 작품을 그다시 접해보지 못하기도 했고 또 접했다고 하더라도 그리 눈에 띄지는 않았다. 그동안 비주류 영화들에도 꾸준히 출연하며 안정적인 연기를 보여주었던 그는 이 영화 한편으로 당당히 그 진가를 보여주고 있다. 앞으로 이 두 배우의 선전이 기대된다.

추격자 스틸 3

사실 영화 개봉 전에 개인적으로 많은 기대를 하긴 했었지만 과연 흥행에 성공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었다. 개봉하자 마자 보고 생각보다는 많이 관객이 들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요즘 추세로 보면 정말 대박이다. 얼마전에는 헐리우드에서의 리메이크 소식까지 들리고 있다. 흔히 한국영화들 중에서는 정말 잘 만들고 좋은 영화들이 흥행에서는 참패를 당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이 영화를 통해서 이런 징크스가 깨져 앞으로는 제작자들도 스타에 의존하지 않고 작품 자체에 대해 더 중요하게 생각하게 되고 이런 분위기가 대세가 된다면 한국영화도 소재도 더욱 다양해 지고 관객들의 만족도 높아지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해 본다.

추격자 스틸 4

뱀다리 : 꼬리동이 살고 있는 바로 옆동네인 망원동이 배경으로 나와서 놀람. -_-;;

  Comments,     Trackbacks
브릭 : 범죄 수사 누아르의 십대 버전

브릭 (Brick, 2005)
- 감독 : Rian Johnson
- 출연 : Joseph Gordon-Levitt, Nora Zehetner, Lukas Haas, Noah Fleiss, Matt O'Leary

브릭 포스터 1 브릭 포스터 2

십대들의 범죄 수사극이라고나 할까? 그런데 십대들의 이야기라고 하기엔 스타일이 너무나 필름 누아르적이다. 그렇다면 범죄 수사 누아르의 십대 버전? 히치콕, 데이빗 린치, 마틴 스콜세지 등의 작품 스타일을 혼합하여 십대들의 이야기고 재탄생시킨 느낌이다.

헤어진 여자친구의 죽음의 원인을 파헤치는 과정에서 십대들의 어두운 면을 접하게 되고 얼키고 설킨 등장인물들의 관계들을 하나 둘씩 풀어내가고 있다. 갱, 마약, 폭력, 살인이 뒤범벅이된 이 십대들의 초상은 어쩌면 우리들에게도 조만간 아니 이미 벌어지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마지막 장면에서 로라가 브렌든에게 한 귓속말은 무엇이었을까?

브릭

  Comments,     Trackbac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