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26)
[2011년 관람영화 결산 1] 한국영화 베스트 5
- 관람영화 (가나다 순 / 총 17편)
고지전 / 그대를 사랑합니다 / 도가니 / 돼지의 왕 / 모비딕 / 북촌 방향 / 블라인드 / 써니 / 완득이 / 의뢰인 / 조선명탐정: 각시투구꽃의 비밀 / 종로의 기적 / 체포왕 / 최종병기 활 / 트루맛쇼 / 퍼펙트 게임 / 혜화, 동

1. 완득이 (Punch)
감독 : 이한
출연 : 김윤석, 유아인, 김상호, 박효주

 

2. 그대를 사랑합니다 (Last Blossom) 
감독 : 추창민
출연 : 이순재, 윤소정, 송재호, 김수미

 

3. 써니 (Sunny)
감독 : 강형철
출연 : 유호정, 진희경, 고수희, 홍진희, 이연경

 

4. 도가니 (Silenced)
감독 : 황동혁
출연 : 공유, 정유미

 

5. 혜화, 동 (Re-encounter)
감독 : 민용근
출연 : 유다인, 유연석



  Comments,     Trackbacks
[2011.12.31] 임재범 콘서트 '거인, 세상을 깨우다'
내가 임재범의 목소리를 처음 들었던 것은 1986년 시나위 1집의 '크게 라디오를 켜고'였다. 사실 당시에는 그 곡은 좋아했었지만 임재범의 보컬을 연주에 묻혀버린다는 생각이 들어 그리 관심이 가질 않았다. '그대앞에 난 촛불이여라'가 오히려 보컬의 매력은 더 느낄 수 있었다. 시나위 2집에서는 보컬이 김종서로 바뀌고 그는 외인부대와 Asiana로 활동을 계속했지만 사실 난 메탈 팬은 아니었기에 임재범은 내 관심에서 멀어져 갔었다.

그의 음악이 내게 관심을 끌게 된 것은 솔로 1집인 '이 밤이 지나면'을 통해서였다. 사실 당시 기존 임재범의 팬들은 이 솔로 앨범에 불만이 많았었다. Rock음악에 대한 변절이라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앨범의 전체적인 느낌은 역시 Rock의 성격이 매우 강하다. 그 후 2집부터는 그가 직접 작사, 작곡에 참여하면서 좀 더 자신이 하고 싶은 음악쪽으로 대중들에게 다가왔다. 그렇게 그는 '비상', 사랑보다 깊은 상처', '고해', '너를 위해' 등의 히트곡을 만들어내고 많은 드라마의 OST에도 참여했다.

사실 그가 2011년 중반 MBC의 '나는 가수다'에 출연하게 된다는 소식을 들었을때 긴가민가 했다. 그의 파란만장한 과거사를 딛고 대중들에게 다시 다가올 수 있을까 하는 우려도 있었지만 그의 음악을 다시 들을 수 있다는 사실에 고마웠다. 그렇게 그는 세상으로 다시 나왔고 이제는 그 속에서 많이 익숙해진 느낌이다. 그런 그의 공연을 2011년 마지막날 관람할 수 있었던 것은 잊지 못할 경험이었다.

그의 공연은 내가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그의 곡인 '비상'으로 시작되었다. 마치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듯한 가사가 매우 감동적으로 다가왔다. 그 후 여러 히트곡들과 이번 리메이크 앨범에 포함된 곡들고 공연은 구성되었다.

중간에 분위기가 바뀌며 디아블로, 차지연씨와 함께 이번 앨범에 아쉽게 빠졌던 헤비메탈 버전의 '내 귀에 캔디'와 '크게 라디오를 켜고', 'Rock In Korea'로 열정적인 무대를 보여주었다. 이제 50이 된 그의 그런 열정적인 모습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었다.

게스트로는 박완규가 '사랑했어요', '그것만이 내세상'을 불러 줬고, 차지연은 '그내는 어디에'와 '사랑보다 깊은 상처'(임재범과 듀엣), 디아블로는 '고래사냥'을 들려 주었다. 박완규는 '천년의 사랑'이나 '련' 같은 곡을 불러줬으면 좋았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남았다. 물론 'Lonely Night'이면 더 좋았을 것이고...

콘서트의 마지막곡은 역시 '고해'였고, 앵콜곡으로는 '여러분'을 선사하며 2시간 30분이 넘는 공연을 마무리했다.

전체적인 느낌은 물론 전성기만큼은 못하겠지만 그의 목소리가 많이 좋아진 듯 했다. 이제는 정말 세상과 교류하려고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가족들과 그의 동생인 손지창 내외도 이번 공연을 관람했다고 한다.

아쉬웠던건 이번 앨범곡들의 비중이 좀 많아서 숨겨진 그의 히트곡들이 선곡에서 많이 빠진 것이었다. 내심으로는 '가로수 그늘아래 서면'을 불러 줬으면 했는데 역시나였다.

아무튼 이제는 그의 파란만장한 과거사는 접어두고 좋은 음악 많이 들을 수 있었으면...

공연곡 (가나다순)
 
겨울 편지
고해
낙인
내귀에 캔디
너를 위해
비상
사랑
사랑 그 놈
사랑보다 깊은 상처
얼굴
여러분
이 밤이 지나면
크게 라디오를 켜고
Desperado
Hello
Kiss
Rain
Rock In Korea
Shape Of My Heart
Sweet Dreams

- 박완규
그것만이 내세상
사랑했지만

- 차지연
그대는 어디에

- 디아블로
고래사냥
















  Comments,     Trackbacks
[2011.12.04] 변산 마실길

지난 4월, 공사를 시작한지 장장 19년만에 개통된 군산과 부안을 연결하는 새만금 방조제. 변산의 마실길은 새만금 전시관에서 시작한다. 총 4개의 구간으로 구성되어 있는 마실길 중 제 1구간 노을길을 다녀왔다.

변산반도의 해안길따라 마련된 마실길은 멋진 바다의 풍경과 기암절벽들을 마음껏 감상할 수 있었다. 한가지 아쉬웠던 것은 흐린 날씨때문에 그 멋진 풍경들의 반정도밖에 느낄 수 없었다는 것이다. 바닷길 중간 중간에 언덕으로 이어진 길들도 있어서 지루하지 않게 걸을 수 있었던 것 같다.















































  Comments,     Trackbacks
[2011.11.26] 브라이언 맥나이트 (Brian McKnight) 내한공연

내가 처음 그의 음악을 들었던 것은 아마도 1995년쯤 라디오에서 'One Last Cry'였을 것이다. 이 곡이 히트한건 1993년이었지만 그땐 군대에 있었으니 제대 후에 처음 들었던 것 같다. 그때만 해도 그의 인기가 그리 높지는 않았다. 솔로곡보다 바네사 윌리암스와 불렀던 'Love Is'가 더 유명했었으니까. 'One Last Cry'도 'Love Is'가 히트하면서 뒤늦게 빛을 본 경우였다. 당시 국내에는 라이센스도 나오지 않았었다. 그래서 명동 신세계 백화점의 지하에 있었던 파워스테이션에서 겨우 수입음반으로 구해서 들었었다. 그 후 4집 'Back At One'이 전세계적인 히트를 하면서 우리나라에도 많은 팬들이 생겨났고 여러 가수들도 자신의 가창력을 인정받기 위해 앞다투어 그의 곡들을 부르기도 했다. 사실 그의 인기는 'Back At One'때 정점을 달렸고 그 이후에는 조금씩 하락세이긴 하지만 이제는 고정팬들이 꽤 많아진 듯 하다.


그는 여러번 방한했는데 내한공연은 2002년 처음 이루어졌다. 그 후 작년에 두번째에 이어 11월 26일 세번째 공연이 잠실 실내체육관에서 열렸다. 얼마전 발매한 'Just Me'앨범 이후 진행되고 있는 Just Me Tour 순회공연의 일환으로 열린 공연이었는데 아시아 지역은 우리나라와 일본만 하는 듯 하다. 이번 순회공연은 'Acoustic Show'와 'Band Show' 두가지 포맷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한공연은 'Acoustic Show'였는데 밴드 없이 피아노와 기타를 직접 연주하며 노래하는 공연이었다. 이번 앨범인 'Just Me'의 두번째 라이브 디스크를 들어보면 아마도 어떤 분위기인지 짐작이 갈 것이다. 이번 내한공연도 거의 비슷한 포맷으로 진행되었다.



8시에 시작된 오프닝은 비보이 공연과 임정희가 나왔다. 요즘 '불후의 명곡 2'로 다시 주목받고 있는 임정희는 골든 레이디, 시계 태엽 그리고 데뷰곡이었던 Music Is My Life를 시원한 가창력으로 불러주었다.



임정희의 공연이 끝나고 잠시 뜸을 좀 들이다가 무대 중앙이 조명이 밝혀지며 그가 나타났다. 3층에서 찍은 사진이라 상태가 별로 좋지 않다. -_-;;
 


그리고 한시간 반정도의 시간동안 Back At One, One Last Cry, Crazy Love, Still, Never Felt This Way, Anytime, The Only One For Me, 6,8,12, Love Of My Life, Shoulda Woulda Coulda, Still In Love, My Kind Of Girl 등 대부분의 히트곡과 이번 Just Me 앨범에서 Fall 5.0을 불러 줬다. 또한 When I Fall In Love (Nat King Cole), On The Wings Of Love (Jeffrey Osborne), Overjoyed (Stevie Wonder), Rock With You (Michael Jackson) 같은 다른 존경하는 가수들의 곡들도 그들을 흉내내며 불러 줬는데 스티비 원더의 작년 내한 공연때 빠졌던 Overjoyed를 브라이언 맥나이트의 목소리로 들으며 아쉬움을 만회했다. 마이클 잭슨의 노래를 불러 줄때는 가슴이 찡해지기도 했다.




여성팬들이 많은 그는 여성 관객 중 한명을 무대로 초대해서 노래를 불러 주기도 했다.







이번 앨범인 'Just Me'에는 템포가 빠른 곡들이 예전 앨범들에 비해서 좀 많은 편인데 그 중 'Fall 5.0'을 부를 때는 리듬에 맞추어 간단한 춤을 추기도 했다.


브라이언 맥나이트는 내가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가수 중 한명이었지만 공연을 본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 악기 하나와 목소리로 어떻게 이런 멋진 음악을 들려주는지...  공연 중 몇번이나 전율에 소름이 돋았다. 정말 멋진 목소리와 작곡 능력을 가진 것 같다.

몇가지 아쉬웠던 것은 위에도 썼지만 'Just Me' 음반의 두번째 디스크 포맷하고 너무 비슷해서 미리 감상했던 나에겐 신선함이 좀 떨어졌다는 것. 그리고 진행상의 아쉬움도 있었는데 브라이언이 공연중 하는 얘기들을 스크린에 번역해서 보여주는 것이 너무 타이밍이 늦어서 오히려 역효과가 났었던 것 같다.

아무튼 좋아하는 가수의 좋아하는 음악들을 라이브로 듣고 또 감동을 받을 수 있었던 소중한 시간이었다.

그의 공연을 본 후 그의 앨범들을 꺼내어 다시 듣고 있다. 그는 신보 소식이 들리면 주저없이 음반을 구매하는 아티스트 중의 하나이다.


아래의 2장은 그의 곡때문에 구매한 음반인데 Beverly Hills 90210는 유명한 Vanessa Williams와의 듀엣곡 'Love Is'가 수록되어 있고 디즈니의 'Music From The Park'에는 그리 널리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개인적으로 무척 좋아하는 'Remember The Magic'이란 곡이 포함되어 있다.


조규찬의 7집 리패키지에 포함된 'Thank You (For Saving My Life)'에서도 그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그리고 원래 Justin Timberlake와의 듀엣곡 'My Kind Of Girl'을 박진영과 다시 불러 국내에서 발매된 베스트 앨범 'From There to Here: 1989-2002'에 수록하기도 했다.



  Comments,     Trackbacks
[2011.11.06] Moscow, Russia
이스탄불에서 4시간정도 걸려서 모스크바에 도착했다. 모스크바에서의 공항 대기 시간이 15시간정도라 미리 러시아 비자를 받고 시내에 나갔다 올 계획을 세웠었다. 사실 개인적으로 러시아만을 여행 목적지로 삼을 가능성은 별로 없을 것 같아서 이번이 모스크바을 방문할 정말 좋은 기회였었다. 공항에서 시내로 가는 방법이 몇가지가 있는데 가장 빠른 방법은 Aeroexpress라는 열차를 타면 35분정도가 걸리며 요금은 320루블(12,000원정도)이다. 저렴한 방법은 버스를 타고 메트로 역으로 가는 방법이다. 851, 949번 버스는 Rechnoy vokzal역으로, 817, 948번은 Planernaya역으로 간다. 요금은 28루블. 나의 목적지는 붉은 광장. Rechnoy vokzal역에서 타면 갈아타지 않아도 될 것 같아서 난 851번 버스를 탔다. 일요일 아침 시간이라 그런지 차가 거의 막히지 않아 공항에서 역까지 30분정도 걸린 것 같다. Rechnoy vokzal역에 도착해보니 영하 9도라는 표시가 보인다. 정말 춥긴 추웠다. 붉은 광장 (Krasnaya Ploshchad)에 가기 위해서는 이곳에서 2호선을 타고 Teatralnaya역까지 가면 된다.


붉은 광장에 도착해서 가장 먼저 간 곳은 그 앞에 있는 맥도날드였다. 금강산도 식후경이라고 우선 아침을 먹기 위해서... 하지만 메뉴판을 보니 죄다 러시아어밖에 없다. 다행이 따로 준비되어 있는 메뉴판을 보고 주문을 했다. 맥모닝 메뉴 중 자주 먹었던 베이컨 에그 맥머핀을 시켰는데 모스크바 맥도날드에는 맥모닝 세트 같은게 없었다. 그래서 커피와 같이 시키니 한화로 4,400원정도 나왔던 것 같다. 커피를 마시다 보니 컵 옆에 뭔가 떼어낼 수 있게 되어 있다. 자세히 보니 아마도 6잔을 마시면 7번째 잔은 무료 뭐 그런건가 보다. 아무튼 붉은 광장 앞의 맥도날드는 사람들이 정말 많았다. 아마도 추운 날씨에 주변에 그 시간에 마땅히 갈 만한 곳도 없고 화장실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 아닐까 추측해 본다.


간단히 아침을 먹고 찾아간 붉은 광장 (Krasnaya Ploshchad). 크레믈린 궁 (Kremlin), 레닌 묘 (Lenin's Mausoleum), 국립 역사 박물관 (State Historical Museum), 굼 (Gum) 백화점으로 둘러쌓인 전경.


유명한 성 바실리 성당 (St. Basil's Cathedral)은 해를 등지고 서 있다.


역사 박물관 옆에 있는 카잔 성당 (Kazan Cathedral).


붉은 광장 입구에서 볼 수 있는 주코프 (Georgy Konstantinovich Zhukov) 원수의 동상.


붉은 광장 앞에 있는 마네쉬 쇼핑 센터 옆에 있는 분수대인 듯 한데 추워서인지 물은 다 빠져 있었다.


점심은 마네쉬 쇼핑 센터에 있는 푸드 코트에서 먹었다. 커다란 감자의 속을 치즈와 함께 섞은 다음 원하는 토핑을 2가지 얹어주는데 난 햄과 치킨이 주가 된 토핑을 선택했다. 보기보다 양도 많고 맛도 있다. 좀 느끼하긴 했는데 콜라와 함께 먹었더니 먹을 만 했다.



점심을 먹고 다시 찾은 붉은 광장. 내가 방문한 바로 다음날이 1941년 붉은 광장 군사 퍼레이드를 재현하는 기념 행사날이었다고 한다. 그래서 이와 관련된 준비가 한창이었다.


볼쇼이 모스크보레츠키 다리(Bolshoy Moskvoretsky Bridge)로 가는 길에 찍은 성 바실리 성당.





볼쇼이 모스크보레츠키 다리(Bolshoy Moskvoretsky Bridge)에서 찍은 주변 풍경들.



저 멀리 크레믈린 궁 (Kremlin)도 보인다.



다시 성 바실리 성당으로 돌아와 좀 더 가까이에서 여러 각도로 찍은 사진들.









붉은 광장 옆에는 굼 백화점이 있는데 매우 고급스러우며 웅장한 내부 장식과 시설을 갖춘 국영 백화점이다. 많은 유명 명품 브랜드들이 입점해 있었다.





해가 져가면 백화점 외벽에 불이 밝혀진다.


다시 찾아간 볼쇼이 모스크보레츠키 다리에서 찍은 석양.



해가 지면서 붉은 광장 주변에도 조명이 켜지기 시작한다.








원래는 붉은 광장 외에 다른 곳들도 몇군데 더 가보려고 했었는데 날씨가 너무 추워서 붉은 광장과 마네쉬 쇼핑센터, 굼 백화점을 돌면서 그 주변에만 있었다. 이곳의 야경까지 보고 싶다는 생각도 들었다.

붉은 광장의 야경을 찍고 난 서둘러 공항으로 이동했다. 아침에 붉은 광장에 올 때 1시간 정도 걸려서 차가 막혀도 1시간 30분정도 걸리겠지 하는 생각을 했었는데 내 예상보다 훨씬 시간이 오래 걸려 2시간정도 소요되었다. 아마도 일요일 저녁시간이라 그랬었던 것 같다. 비행기 출발시간 50분 전에 도착했는데 보딩패스는 이미 받아 놓은 상태여서 제시간에 비행기에 탑승할 수 있었다. 이렇게 일주일간의 짧은 여행이 마무리되었다. 
  Comments,     Trackbacks